본문 바로가기
우아한테크코스

우테코[BE 7기] 최종 합격 후기

by CodingMasterLSW 2024. 12. 28.

 

우테코를 준비하면서 선배님들의 후기가 준비하는 과정에서 매우 도움이 많이 되었다.

나 또한 사람들에게 정보를 나눠주고 싶어, 합격 후에 바로 후기를 쓰게 되었다.

 

준비과정은 크게 자기소개서, 프리코스, 최종코딩테스트가 있고, 차례대로 내가 어떻게 준비했는지 설명하려고 한다.


자기소개서

이번 7기 자기소개서는 3가지 파트로 나누어져 있었다.

  • 프로그래머가 되려는 이유와 지원 동기
  • 오랜 시간 몰입했던 경험 그리고 도전
  • 프리코스 목표 설정

 

1번

우테코 입학설명회를 계속해서 돌려봤는데, 진솔한 내 이야기를 듣고 싶어 하는 것 같았다.

 

내가 삶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는 나눔이다.

왜 나눔을 중요시 생각하는지에 대해 작성하고, 나눔이라는 가치를 현재를 어떻게 실현하고 있는지,

우테코에서 어떻게 연관될 수 있는지에 대해 작성했다.

 

입학설명회 영상을 보면, 이력서 형태로 내가 ~~ 하고 ~~ 도 해봤습니다. 와 같이 기술스택을 자랑하는 것이 아닌, 본인의 진솔한 이야기를 요구하니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2번

몰입경험은 운동과 다이어트에 대해서 작성했다.

 

 

마찬가지로 입학설명회 영상을 많이 참고했는데, 단기적인 몰입보다는 장기적인 몰입 (1년 이상)의 경험을 작성하는 걸 추천한다. 우아한 테크코스가 1년에 가까운 과정이기에, 우테코에서 몰입을 잘할 수 있냐? 에 대한 걸 어필하면 좋다고 생각한다.

 

이후에 다이어트에서 어떤 시련을 맞이했고, 이를 어떻게 극복했는지, 장기간 몰입할 수 있었던 나만의 노하우를 함께 작성했다.

 

증빙자료를 함께 첨부할 수 있어, 다이어트 전 몸 사진, 다이어트 후 몸 사진, 인바디 결과표,

운동 영상을 Notion에 첨부해 제출했다.

 

3번

프리코스를 한 달 동안 진행하면서 성장하고 싶은 부분을 그냥 작성했다.

요즘에 과제던, 코딩이던 맨날 ChatGPT에 의존을 너무 많이 해 이게 내가 공부하는 건가... 의미가 있는 건가? 생각이 많이 들었고, 프리코스에서라도 gpt 안 쓰고 해 보자 생각해 생성형 AI 사용 안 하기로 작성했다. 또, 프리코스를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 프리코스 커뮤니티 열심히 참여하기 정도로 작성했다. 물론 그 과정에서 어떻게 열심히 참여할 건지, 생성형 AI 대신 어떻게 공부할 건지에 대한 방법을 자세히 기재했다.


프리코스

우아한 테크코스는 한 달 동안 미니 우테코를 즐겨볼 수 있는 프리코스를 해볼 수 있다.

개인적으로는 프리코스 커뮤니티를 적극 참여하는 것을 추천한다.

 

사실 나는 우테코 6기에도 지원했다.

자기소개서도 하루 전날에 대충 썼고, 붙을 생각은 없이 내년에 붙기 위해 미리 체험해 보자 라는 생각으로 지원했고, 당연히  탈락했다.

 

이후에 시간이 지나서, 6기 때 참가했던 미션을 다시 풀어보는데, 어떻게 개선을 할지 도저히 방법을 모르겠었다.

 

그때 알았다.

많은 사람들이 똑같은 미션을 구현하면서, 같은 고민을 하고, 개선사항을 서로 공유하는 경험은 진짜 하기 어렵다. 6기 진행할 당시에는 몰랐지만, 프리코스 마치고 반년뒤에 미션 구현하면서 이런 경험이 흔치 않고 중요한 경험이란 걸 직접 느꼈다.

 

프리코스는 우아한테크코스 합격을 위한 과정이기도 하지만,  Java 실력을 향상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라는 걸 생각하고 임했으면 좋겠다.

 

 

프리코스는 매 주차 간단한 프로그램을 구현해 제출하는 방식이다.

 

1주차 

https://codingmasterlsw.tistory.com/20

 

우테코 프리코스[BE 7기] 1주차 회고

1주차 미션 : 문자열 덧셈 계산기 기능 요구 사항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스스로 판단하여 구현한다. 이 부분이 나한테는 엄청 애매했다... 우선 요구사항에 대해 살펴보며 기능목록을 작성했

codingmasterlsw.tistory.com

 

2주 차

https://codingmasterlsw.tistory.com/21

 

우테코 프리코스[BE 7기] 2주차 회고

2주차 미션 : 자동차 경주미션 보기 ( 7기 레포에는 설명이 없어 6기 레포로 대체합니다)https://github.com/woowacourse-precourse/java-racingcar-6 GitHub - woowacourse-precourse/java-racingcar-6Contribute to woowacourse-precourse

codingmasterlsw.tistory.com

 

3주 차

https://codingmasterlsw.tistory.com/22

 

우테코 프리코스[BE 7기] 3주차 회고

3주차 미션 : 로또 미션 보기 ( 7기 레포에는 설명이 없어 6기 레포로 대체합니다) https://github.com/woowacourse-precourse/java-lotto-6 GitHub - woowacourse-precourse/java-lotto-6Contribute to woowacourse-precourse/java-lotto-6 de

codingmasterlsw.tistory.com

 

4주 차

https://codingmasterlsw.tistory.com/23

 

우테코 프리코스[BE 7기] 4주차 회고 및 종료

4주차 미션 : 편의점    4주차 미션을 한 마디로 정하면 '아쉽다' 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4주차 미션은 1~3주보다 난이도가 월등히 높았다. 미션 초기에는 사실 엄청 설렜다. 이 미

codingmasterlsw.tistory.com

 

각 주차에 대한 회고록 또한 작성해 놨으니,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프리코스 같은 기회 진짜 별로 없으니... 열심히 참여하면 좋다고 생각한다. 


최종 코딩 테스트

최종 코딩 테스트는 각 주차별 나오는 미션들을 5시간 안에 구현하는 것이다.

 

프리코스 종료 후 1차 발표가 나올 때까지 한 달 정도의 기간이 있는데, 시간이 있다면 이 기간에 

빠르게 구현하는 연습을 하는 것을 추천한다.

 

나 또한 연습을 했지만, 해당 시기에 너무 많은 활동이 겹쳐 최종 코딩테스트 연습에만 집중할 수 없었다.

(체험형 인턴 지원, 스마일게이트 dev camp 지원, 기말고사 등등...)

 

개인적으로 프리코스 커뮤니티에서 스터디 팀을 꾸려서 연습하는 걸 추천한다.

스터디하면 강제로 5시간 집중해서 할 수 있고, 같이 준비하는 과정에서 몰랐던 부분을 공유하면서 한 단계 더 성장할 수 있다. ( 저는 그렇게 느꼈네요 )

 

최종 코딩 테스트를 준비하면서 풀어본 미션들은 다음과 같다.

 

  • 7기 2주 차 복습 (자동차 경주)
  • 7기 3주 차 복습 (로또)
  • 3기 최종 미션 (지하철)
  • 4기 3주차 미션 (자판기)
  • 4기 최종미션 (페어매칭)
  • 5기 최종미션 (점메추)
  • 6기 최종미션 (온콜)

난이도가 정말 다르다고 느꼈다.

점메추의 경우 정말 빠르게 구현하고 시간도 남았는데, 지하철, 페어매칭, 온콜은 기능 구현을 온전히 다 못 했었다.

 

무엇보다, 7기 4주 차인 편의점을 복습을 안 했는데, 최종 코딩테스트는 편의점 미션과 비슷하게 나왔다ㅎ...

최종 코딩테스트를 준비하는 분들이 있다면, 해당 기수의 미션부터 완벽하게 복습한 후에 다른 미션 풀어보는 것을 추천한다.

 

최종코딩테스트 또한 난이도가 상당히 높게 나왔고, 구현을 완료하지 못했다.

테스트 케이스 5개 중에 4개를 맞췄는데, 나머지 하나에서 정말 많은 기능 사항을 요구했다.

4개 맞추신 분들이 많았는데, 그중에서도 나는 기능 구현을 많이 하지 못해 사실 합격과는 거리가 멀어졌다고 생각했지만,

운 좋게 합격할 수 있었다.

 

최종 미션을 진행할 때 돌아가는 쓰레기를 만들어라는 말을 많이 들어봤을 거다.

난 이게 익숙지가 않았다. 아니, 너무 불편했다.

 

물론, 5시간 안에 구현을 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코드의 구조 설계... 이런 걸 포기해야 한다.

일단 돌아가게 구현 후, 리팩토링 해라. 맞는 말이다.

 

다만, 최종 미션 연습하면서 돌아가는 쓰레기 또한 만들어봤지만 리팩토링이 너무 어려웠다.

어디서부터 고쳐야 할지 너무 막막했고, 나한테 맞지 않는 방법이라는 생각이 들어

고칠 수 있는 쓰레기를 만들기로 결정했다. 즉, 어느 정도 코드 퀄리티를 챙겼다는 말이다.

 

기능 구현을 많이 못 했지만, 리팩토링 할 부분은 별로 없었다. 나름 코드가 깔끔해서 합격하지 않았을까?라고 추측 중이다. ( 실제로 최종 코딩테스트는 코드 까본다고 하셨다. )

 

최종코딩테스트의 자세한 후기가 궁금하다면, 하단의 글을 읽어보는 걸 추천한다.

https://velog.io/@zzfast/%EC%9A%B0%ED%85%8C%EC%BD%94-1%EC%B0%A8-%ED%95%A9%EA%B2%A9-%EB%B0%8F-%EC%B5%9C%EC%A2%85-%EC%BD%94%ED%85%8C-%ED%9B%84%EA%B8%B0

 

우테코 1차 합격 및 최종 코테 후기

최종 코테를 본 후, 오늘 느낀 감정을 정리하고 싶어서 회고록을 작성해봐요. 11~12월은 정말 정신없는 달이었던 것 같아요. 프리코스를 진행하면서 외부 프로젝트도 동시에 진행하고... 또 기말

velog.io

 

최종 코테 repository

https://github.com/CodingMasterLSW/java-attendance-7-CodingMasterLSW

 

GitHub - CodingMasterLSW/java-attendance-7-CodingMasterLSW

Contribute to CodingMasterLSW/java-attendance-7-CodingMasterLSW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사실 붙었다는 게 실감이 안 난다. 선배님들의 후기를 보면서 나도 너무 하고 싶다... 생각했는데, 우테코 활동을 하고 있는 내 모습이 상상이 안 간다. 너무 기쁜데... 표현할 방법이 없네 허허

 

정말 열심히 참여해서, 많이 성장하고 싶다!